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Tae Ho Yeom (Cheongju University) Hyo Young Yeom (Cheongju University) Pabitra Aryal (Institute for Basic Science)
저널정보
한국물리학회 새물리 새물리 제71권 제10호
발행연도
2021.10
수록면
819 - 826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Mn<SUP>2+</SUP> ion-doped perovskite CsPbBr₃ quantum dots embedded in glass were synthesized by using the melt-quenching technique. An X- band electron magnetic resonance (EMR) spectrometry, showed two sets of Mn<SUP>2+</SUP> EMR spectra in the CsPbBr₃ quantum dots at room temperature: One originating from isolated Mn<SUP>2+</SUP> ions and the other set from Mn<SUP>2+</SUP> clusters. As the M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isolated Mn<SUP>2+</SUP> ions decreased, whereas the concentration of Mn<SUP>2+</SUP> clusters increased. The spectroscopic splitting parameter (g = 2.011) and the hyperfine constant (A = 9.66 mT) were determined using the effective spin Hamiltonian. The Mn<SUP>2+</SUP> ion resides at Pb<SUP>2+</SUP> instead of Cs<SUP>+</SUP> in CsPbBr₃ QDs and/or in the fabricated CsPbBr₃ glass. If the Mn<SUP>2+</SUP> ion substitute for Pb<SUP>2+</SUP> in the CsPbBr₃ QDs, the local site symmetry of the Mn<SUP>2+</SUP> ion is cubic.

목차

I. INTRODUCTION
II. CRYSTAL STRUCTURE AND EXPERIMENTAL ASPECTS
III. ANALYSIS AND DISCUSSION
IV. SUMMARY
REFERENCES

참고문헌 (5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