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분리세균들의 항균활성
미생물학회지
2019 .12
해양 생물에서 분리된 Phaeobacter inhibens KJ-2의 항균 활성
생명과학회지
2017 .10
Burkholderia sp. OS17의 항균활성 증진을 위한 배양최적화
미생물학회지
2018 .12
세균 유래 항균물질의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의 상호작용
미생물학회지
2020 .09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에 대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의 probiotic 효과
한국어병학회지
2016 .01
해양 유래 미생물을 이용한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탐색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017 .01
Bacillus subtilis DS660과 Paenibacillus polymyxa DS842의 항균활성
미생물학회지
2018 .12
돼지위축성비염과 가금티푸스 병원균을 저해하는 Bacillus amyloliquefaciens TK3의 분리 및 특성 조사
미생물학회지
2015 .06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Mechanism of Antimicrobial Peptide against Bacteria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04
세균과 식물 유래 항균물질의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상호작용
미생물학회지
2020 .03
Draft genome sequence of the carbofuran-degrad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DYC2-1 isolated from a farmland soil
미생물학회지
2023 .03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Vibrio alginolyticus 분포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2021 .06
가축의 보조사료 개발을 위한 Bacillus spp.의 분리 및 특성
미생물학회지
2015 .12
Multiplex PCR using YeaD and 16S rRNA gene to identify major pathogens in vibriosis of Litopenaeus vannamei
Genes & Genomics
2019 .01
Antipathogenic Activity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016 .01
국내에서 수집된 마른진흙버섯 자실체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2016 .01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of Eucalyptus globulus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04
Bacillus amyloliquefaciens HY를 이용한 상추 균핵병의 생물학적 방제
Research in Plant Disease(식물병연구)
2024 .09
자생식물의 항균 소재 탐색 및 추출물 첨가 항균용기 개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018 .06
생물적 방제균 Bacillus amyloliquefaciens LM11의 유래 생물계면활성물질과 항균활성과의 상관관계
Research in Plant Disease(식물병연구)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