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동휘 (국립수산과학원) 문영건 (제주대학교) 허문수 (제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생명과학회 생명과학회지 생명과학회지 제34권 제9호
발행연도
2024.9
수록면
632 - 638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다양한 조건의 배지 성분 및 pH, 배양온도에서 Bacillus amyloliquefaciens JFP-02를 배양하여 제주도 넙치 양식장에서 분리된 어류 질병세균 9종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Flexibacter maritimus, Staphylococcus caprae,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parauberis, Photobacterium damselae, Vibrio harveyi, Vibrio campbellii, Vibrio alginolyticus, Vibrio anguillarum가 동정되었다. 어류 질병세균에 대하여 florfenicol이 가장 큰 감수성을 보였고, 다음으로 gentamycin, neomycin이 감수성을 보였다. 또한 penicillin에 대하여 어류 질병세균이 가장 큰 내성을 가졌으며, 다음으로 amoxycillin과 erythromycin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다. B. amyloliquefaciens JFP-02는 pH 9에서 가장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냈지만, 항균 활성은 pH 6에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배양온도는 30℃에서 가장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냈지만, 항균 활성 효과는 20℃에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배지 성분에 따른 B. amyloliquefaciens JFP-02의 항균 활성은 탄소원 중 dextrin을 첨가 시 가장 높은 생육 활성과 항균 활성을 보였다. 또한, 질소원 중 yeast extract를 첨가 시 가장 높은 생육 활성과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무기염 중 MgSO₄・7H₂O, FeSO₄・7H₂O를 첨가 시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냈지만, 항균 활성 효과는 KH₂PO₄에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초록

참고문헌 (2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