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MBTI(MBTI Form Q)와 Big Five 성격검사(NEO-PAS, BFI)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두 도구의 상호 보완적 사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MBTI는 네 가지 선호 지표인 외향성/내향성(Extraversion/Introversion), 감각/직관(Sensing/Intuition), 사고/감정(Thinking/Feeling), 판단/인식(Judging/Perceiving)을 통해 성격을 분류하며, 개인의 선호 성향을 평가한다. 반면, Big Five는 개방성(Open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 외향성(Extraversion), 우호성(Agreeableness), 신경증(Neuroticism)이라는 다섯 가지 성격 요인을 측정한다. 연구 결과, 두 성격검사 도구 사이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두 도구가 성격 평가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Big Five의 NEO-PAS는 성격의 다섯 가지 요인을 더 세밀하게 측정하여, MBTI보다 정밀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성격 평가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격 평가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실무 영역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넓혀준다. 예를 들어, 심리치료에서는 두 도구를 통합적으로 사용하여 더 깊이 있는 성격 분석이 가능하며, 교육 상담에서는 학생의 성향에 맞춘 맞춤형 상담이 가능하다. 또한, 직무 적성 평가에서도 두 검사 도구의 상호 보완적 활용이 인재 선발과 직무 적합성 평가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MBTI와 Big Five 성격검사가 함께 사용될 때 더 높은 성격 분석의 정확성과 적용성을 보장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MBTI (MBTI Form Q) and Big Five personality (NEO-PAS, BFI) assessments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the complementary use of these two tools. MBTI categorizes personality using four preference indicators: Extraversion/Introversion, Sensing/Intuition, Thinking/Feeling, and Judging/Perceiving. On the other hand, Big Five assesses five personality factors: 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Our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personality assessment tools, thus suggesting they could be used complementarily for personality evaluations. In particular, Big Five's NEO-PAS measured the five personality traits more accurately and reliably than the MBTI. These findings could enhance the validity of personality assessments and expand their applicability across professional fields. For example, in the psychotherapy field, integrating these tools would enable more in-depth personality analysis, while in educational counseling, they would enable personalized guidance tailored to students' preferences. Additionally, the complementary use of these assessment tools coul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alent selection and job fit evaluations during aptitude assess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using MBTI and Big Five personality assessments in combination would increase the accuracy and applicability of personality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