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가시오가피 잎의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산지별 및 추출용매별(열수, 30% 에탄올, 70% 에탄올) 가시오가피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에 대한 아미노산, 지방산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chlorogenic acid 함량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가시오가피 잎의 주요 아미노산은 지역 및 추출용매와 관계없이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histidine으로 확인되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지역별로 강원도농업기술원> 철원> 삼척> 태백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추출용매에 따라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로 각각 2.35~4.56%, 1.22~2.31%, 1.33~2.07%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지방산 분석 결과, 지역과 관계없이 열수 추출물에서는 SFA가 약 50% 이상, PUFA가 약 2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30% 에탄올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PUFA가 약 50% 이상, SFA가 약 40%를 차지하였다. 주요 지방산은 30% 에탄올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palmit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로 확인되었다. 총 지방산 함량은 지역별로 강원도농업기술원 지역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나머지 철원, 삼척, 태백 지역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용매에 따라 총 지방산 함량이 70% 에탄올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로 각각 21.11~34.11 mg/g, 4.45~7.79 mg/g, 1.00~1.37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Chlorogenic ac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로 철원> 삼척> 태백> 강원도농업기술원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추출용매에 따라 70% 에탄올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순서로 각각 2.00~12.11 mg/g, 4.68~38.99 mg/g, 7.22~46.13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지역별로 철원과 삼척> 태백> 강원도농업기술원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용매에 따른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63.17~113.94mg GAE/g, 44.15~123.46 mg GAE/g, 46.07~118.76 mg GAE/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지역별로 삼척> 철원> 태백> 강원도농업기술원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용매에 따른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74.44~178.92 mg QE/g, 67.28~228.27 mg QE/g, 68.26~202.14 mg QE/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활성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0.125, 0.25, 0.5, 1 mg/mL의 농도 범위에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의 순서로 각각 4.28~76.13%, 4.63~72.80%, 13.66~77.04%의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14.32~93.44%, 9.64~93.35%, 9.40~93.73%의 소거능을 나타냈고, FRAP 활성은 각각 0.25~2.55, 0.20~2.66, 0.21~2.50 범위의 흡광도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지역별로 철원과 삼척> 태백> 강원도농업기술원의 순서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나, 추출용매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가시오가피 잎의 항산화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시오가피 잎 추출물에 함유된 chlorogenic acid,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항산화 활성과의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가시오가피 잎은 아미노산, 지방산, chlorogenic acid,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등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가시오가피 잎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fundamental data on the extrac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E. senticosus) leaves, sourced from their harvesting regions using extraction solvents, with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ingredients.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amino acids, fatty acids, chlorogenic acid,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y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ctivity), were investigated. The major amino acids in E. senticosu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and histidine.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highest in E. senticosus leaves from AR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1.95∼4.53%) and their water extracts (2.35∼4.53%). The major fatty acids were palmit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with the highest total fatty acid content in the AR leaves (1.14∼34.11 mg/g) and in 70% ethanol extracts (21.11∼34.11 mg/g). Chlorogenic acid content was highest in the leaves from Cherwon (CW, 11.73∼46.13 mg/g) and in 70% ethanol extracts (7.22∼46.13 mg/g).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r in the leaves from CW (113.30∼118.76 mg GAE/g and 178.92∼200.76 mg QE/g, respectively) and Samcheok (SC, 113.94∼123.46 mg GAE/g and 153.67∼228.27 mg QE/g,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based on the solvents us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lso higher in the CW and SC leaves, regardless of the extraction solvent u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E. senticosus extracts can serve as valuable natural resources for functional food ingredients and natural antioxid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