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예은 (하람) 양정모 (하람) 정채원 (하람) 박성환 (하람) 조현덕 (하람) 조주현 (하람)
저널정보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54권 제3호
발행연도
2025.3
수록면
228 - 245 (1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가시오가피 잎의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산지별 및 추출용매별(열수, 30% 에탄올, 70% 에탄올) 가시오가피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에 대한 아미노산, 지방산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chlorogenic acid 함량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가시오가피 잎의 주요 아미노산은 지역 및 추출용매와 관계없이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histidine으로 확인되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지역별로 강원도농업기술원> 철원> 삼척> 태백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추출용매에 따라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로 각각 2.35~4.56%, 1.22~2.31%, 1.33~2.07%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지방산 분석 결과, 지역과 관계없이 열수 추출물에서는 SFA가 약 50% 이상, PUFA가 약 2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30% 에탄올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PUFA가 약 50% 이상, SFA가 약 40%를 차지하였다. 주요 지방산은 30% 에탄올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palmit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로 확인되었다. 총 지방산 함량은 지역별로 강원도농업기술원 지역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나머지 철원, 삼척, 태백 지역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용매에 따라 총 지방산 함량이 70% 에탄올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로 각각 21.11~34.11 mg/g, 4.45~7.79 mg/g, 1.00~1.37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Chlorogenic ac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로 철원> 삼척> 태백> 강원도농업기술원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추출용매에 따라 70% 에탄올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순서로 각각 2.00~12.11 mg/g, 4.68~38.99 mg/g, 7.22~46.13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지역별로 철원과 삼척> 태백> 강원도농업기술원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용매에 따른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63.17~113.94mg GAE/g, 44.15~123.46 mg GAE/g, 46.07~118.76 mg GAE/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지역별로 삼척> 철원> 태백> 강원도농업기술원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용매에 따른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74.44~178.92 mg QE/g, 67.28~228.27 mg QE/g, 68.26~202.14 mg QE/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활성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0.125, 0.25, 0.5, 1 mg/mL의 농도 범위에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의 순서로 각각 4.28~76.13%, 4.63~72.80%, 13.66~77.04%의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14.32~93.44%, 9.64~93.35%, 9.40~93.73%의 소거능을 나타냈고, FRAP 활성은 각각 0.25~2.55, 0.20~2.66, 0.21~2.50 범위의 흡광도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지역별로 철원과 삼척> 태백> 강원도농업기술원의 순서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나, 추출용매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가시오가피 잎의 항산화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시오가피 잎 추출물에 함유된 chlorogenic acid,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항산화 활성과의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가시오가피 잎은 아미노산, 지방산, chlorogenic acid,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등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가시오가피 잎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5-02-092456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