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수란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송인섭
발행연도
2014
저작권
숙명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4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대량의 정보가 쏟아지고 변화의 속도가 빠른 현대사회에서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차적 사고력이 요구된다. 많은 연구들에서 이러한 고차적 사고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했으며, 고차적 사고는 다양한 교육적 노력을 통해 향상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고차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학습자의 질문에 주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학습자의 질문은 교수자 중심의 질문에 답을 하는 것보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학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학습의 원동력이 된다. 하지만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질문이 나타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의 질문에 초점을 맞춰서 학습자의 질문과정 중 질문을 저해하게 되는 다양한 요인을 탐색하고, 학습자의 질문과정 및 질문저해요인과 고차적 사고 간에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자의 질문수준에 따라 구조적 관계모형의 경로계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질문을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학습자의 질문과정 및 질문저해요인과 고차적 사고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학습자의 질문수준에 따라 구조적 관계모형의 경로계수에 차이가 있는가?

첫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93명의 대학생과 2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질적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질적자료를 바탕으로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여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자료를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의 질문저해요인은 학습자 내적 요인으로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사회-관계적 특성,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자 외적 요인으로 ‘교수자 성향 특성, 교수자 반응 특성, 수업 체제 특성’의 7요인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대학생 694명에게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질문은 인지적 혼란에 의해 생성이 되고(β=.331, P<.001), 이렇게 생성된 질문은 실제 질문으로 나타나게 되는데(β=.086, P<.05), 이때 학습자 내?외적 질문저해요인들이 실제 질문을 하게 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β=-.570, P<.001). 또한 학습자의 질문은 내면에 질문이 생성이 된 것(β=.251, P<.001)과 그것이 실제로 표출이 된 것(β=.254, P<.001) 모두 고차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는 수업을 설계할 때 인지적 혼란을 초래하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제시하여 학습자의 내면에 질문이 많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질문저해요인들을 통제하여 실제 질문으로도 표출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적 혼란에서 질문저해요인으로 가는 경로(=23.334, p<.001), 질문저해요인에서 실제 질문으로 가는 경로(=6.959, p<.01), 실제 질문에서 고차적 사고로 가는 경로(=4.396, p<.05)에서 높은 수준의 인지적 질문을 제기한 집단이 사실과 관련된 질문을 제기한 집단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더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차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보다 높은 수준의 질문을 생성하여 제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줄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의의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고차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학습자의 질문에 주목하여 경험적인 결과를 제시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고차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수립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학습자의 질문과정 및 질문저해요인과 그에 대한 효과까지 구조적 관계모형을 통해 통합적으로 검증했으며, 학습자의 질문저해요인을 탐색함에 있어서 탐색적 순차 설계를 통해 질적자료를 활용하였다는 것에 방법론적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학습자의 질문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7
1. 교육적 대화에서 ‘질문’ = 7
가. 질문의 의미 = 7
나. 질문의 종류 = 8
2. 질문의 과정 = 14
3. 학습자 질문저해요인 = 16
가. 학습자 내적 요인 = 17
나. 학습자 외적 요인 = 19
4. 고차적 사고 = 23
가. 비판적 사고 = 23
나. 문제해결력 = 26
5. 질문과 고차적 사고 간의 관계 = 28
가. 질문과 비판적 사고와의 관계 = 29
나. 질문과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 30
다.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 31
6. 연구모형 = 32
Ⅲ. 연구방법 = 36
1. 연구대상 = 36
2. 측정도구 = 38
가. 학습자 질문저해요인 = 38
나. 학습자 질문과정 = 39
다. 고차적 사고 = 41
라. 질문수준 = 43
3. 분석방법 = 44
Ⅳ. 연구결과 = 46
1.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질문저해요인 탐색 = 46
가. 주제분석 = 46
나. 척도의 개발 = 55
다. 예비조사 분석 결과 = 58
라. 본조사 분석 결과 = 60
마. 신뢰도 검증 = 64
2.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질문과정, 질문저해요인과
고차적 사고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결과 = 66
가. 기초자료 분석 = 66
나. 측정모형 검증 = 70
다. 구조모형 검증 = 74
3. 학습자의 질문수준에 따른 경로계수 차이 = 79
가. 기초자료 분석 = 79
나. 학습자의 질문수준에 따른 경로계수 차이 = 80
Ⅴ. 논의 및 결론 = 85
1. 논의 = 85
가.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질문저해요인 탐색 = 85
나.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질문과정, 질문저해요인과
고차적 사고 간의 구조적 관계 = 87
다. 학습자의 질문수준에 따른 경로계수 차이 = 90
2. 결론 = 91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