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손철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 대학원)

발행연도
2015
저작권
가천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5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국문 초록

중국 유학생들의 고혈압 관련지식과 식생활 행동에 관한 연구
손 철
가천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임상영양학전공
지도교수 조 우 균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유학중인 중국학생들의 고혈압과 나트륨 관련지식, 고혈압 예방 실천도를 조사하고 식행동 변화단계별로 분석하여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고혈압 예방 실천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교육목표와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외국인 유학생 건강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9월 8일부터 10월 14일까지 국내 3개월 이상 거주한 만 19세 이상의 중국인 대학생 27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성별, 연령, 국내 체류기간, 거주유형, 신장, 체중, 지각된 건강상태 등의 일반사항, 고혈압과 나트륨 관련지식, 고혈압 예방 실천도, 식행동 변화단계 등을 조사하고,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윈도우 19.0 버전으로 분석하였다. 일반 사항은 빈도 및 백분율 등의 기술적인 통계치를 산출하고, 연구 내용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고혈압과 나트륨 관련지식, 식행동 변화단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유의성 검정 후 사후분석은 던컨의 다중구간분석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실행하였다. 고혈압 예방 지식과 고혈압 예방 실천도와의 상관관계는 피어슨(Pearson)의 상관계수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고혈압 관련지식이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나타내며, 최대점이 50점으로 평가될 때 평균점수는 40.62±7.51점으로 나타났다. 고혈압 관련지식은 연령별, 체류기간, 건강상태와 운동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나트륨 관련지식이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나타내며 최대점이 30점으로 평가될 때 평균점수는 24.00±5.49점으로 나타났으며, 체류기간, 건강상태, 운동여부와 외식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고혈압 예방 실천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실천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최대점수 50점으로 구성했을 때 평균 30.98±4.77점이었다. 체류기간, 건강상태, 운동여부, 흡연여부, 음주여부와 외식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혈압 예방 실천도의 장애요인으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른다''가 30.8%, ''혈압 예방 식사지침에 따른 음식 및 조리법은 맛이 없다''가 29.7%''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행동 변화단계 분포는 고려전단계, 고려단계, 행동단계의 3단계 모델을 나누었을 때 조사 대상자 276명중 고려단계가 47.1%, 행동단계가 32.2%이며, 고려전단계가 20.7%로 고려단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행동 변화단계별 체류기간, 건강상태, 운동여부, 흡연여부, 음주여부와 외식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행동 변화단계별 고혈압 및 나트륨 관련지식과 실천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려전단계의 고혈압 및 나트륨 관련지식 점수와 실천도 점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행동단계에 속한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려전단계와 고려단계 및 행동단계의 각 집단의 고혈압 및 나트륨 관련지식과 식생활 실천도 점수가 행동단계로 발전될수록 점진적으로 더 높은 점수를 유의적으로 나타내었다.
식행동 변화단계별 장애요인별 고혈압 예방 실천도의 점수는 고려전단계, 고려단계, 행동단계로 갈수록 실천도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고려단계일 때 ‘고혈압 예방 식사지침에 따른 음식 및 조리법은 맛이 없다’ 는 심리적 장애요인보다 ‘주변에서 가족이나 친구들이 도와주지 않는다’는 환경적 장애요인의 고혈압 예방 실천도 점수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고혈압 및 나트륨 관련지식은 고혈압 예방 실천도의 행동 점수사이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서 첫째, 행동변화단계별 고혈압 예방 관련지식이나 실천도는 고려전단계, 고려단계, 행동단계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으므로 효과적인 영양교육을 위해서 행동변화단계별 특성에 맞게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맞춤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전단계에서는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극복할 수 있도록 관심을 유도하고 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고려단계에서는 행동변화가 가져다주는 단점보다는 장점을 강조하여 행동변화 의지를 강화하고 인지된 장애요인 수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주력한다. 행동단계에서는 전진과 퇴보가 반복되는 것이 정상적인 학습과정임을 받아들이고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행동기술 중심의 적극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행동변화를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중국 유학생들의 고혈압과 나트륨 관련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식생활 실천도의 점수도 높았다. 따라서 앞으로 중국 유학생들의 고혈압 관련지식에 대한 교육전후 효과를 규명하여 식생활 실천도를 높일 수 있는 영양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고려전단계에서는 행동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의식증가, 극적인 안심, 자기재평가, 환경재평가, 사회방면의 교육 내용으로 구성하고, 고려단계에서는 자기재평가, 환경재평가, 자기방면, 자극조절, 대체조절, 조력관계 등의 교육내용으로 구성하며, 행동단계에서는 자극조절, 대체조절, 조력관계, 강화관리 등의 요소를 실제 영양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한다. 셋째, 식생활 실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천항목별 장애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요인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구체적인 실천 개선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아효능감, 결과기대감, 기대가치 등의 개인적 요인, 목표설정, 행동수행능력 확립, 자기통제력 등의 행동적 요인과 사회구조적 환경요인이 필요하다. 넷째, 중국 유학생을 포함한 외국인 유학생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성공적인 유학생활을 위해서는 한국의 낯선 문화, 언어, 환경에 적응하여야 하는 중국 유학생들에게 고혈압 관련지식뿐만 아니라 유학생이 현지에서 활용 가능한 식생활 실천방안, 한국음식문화의 장단점, 실용적인 식품구매, 조리, 가공식품 이용 등의 구체적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키워드: 중국 유학생, 고혈압과 나트륨 관련지식, 식행동 변화단계, 고혈압 예방 실천도

목차

<목 차>
List of Tables ...........................................................................................................ⅳ
List of Figures .........................................................................................................ⅵ
국문 초록 ....................................................................................................................ⅶ
I. 서 론 .........................................................................................................................1
II. 이론적 배경..............................................................................................................5
1. 고혈압 정의..........................................................................................................5
2. 고혈압 유병율......................................................................................................7
3. 고혈압 위험요인..................................................................................................9
4. 중국 유학생의 식생활 문제............................................................................12
5. 식행동 변화단계 모델......................................................................................14
III.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및 기간 .............................................................................................20
2. 설문지 구성과 조사 방법.................................................................................20
3. 자료 분석 방법 .................................................................................................23
Ⅳ. 연구결과 ..............................................................................................................24
1. 일반사항 ..............................................................................................................24
1.1. 조사대상자의 일반특성..............................................................................24
1.2. 건강행위.........................................................................................................27
2. 고혈압과 나트륨 관련지식 .............................................................................29
2.1. 고혈압 관련지식의 정답률........................................................................29
2.2. 나트륨 관련지식의 정답률 ......................................................................31
2.3. 일반특성에 따른 고혈압과 나트륨 관련지식 .....................................33
2.4. 건강행위에 따른 고혈압과 나트륨 관련지식.......................................35
3. 고혈압 예방 실천도와 식행동 변화단계......................................................37
3.1 고혈압 예방 실천도.....................................................................................37
3.1.1. 고혈압 예방 실천도 점수..................................................................37
3.1.2. 일반특성에 따른 고혈압 예방 실천도...........................................39
3.1.3. 건강행위에 따른 고혈압 예방 실천도...........................................41
3.2. 고혈압 예방 실천의 장애요인.................................................................43
3.3. 식행동 변화단계..........................................................................................44
3.3.1. 식행동 변화단계별 분포...................................................................44
3.3.2. 식행동 변화단계별 일반특성...........................................................45
3.3.3. 식행동 변화단계별 건강행위...........................................................47
3.4. 식행동 변화단계별 고혈압과 나트륨 관련 지식과의 관계......................49
3.5. 식행동 변화단계별 고혈압 예방 실천도...............................................52
3.6. 식행동 변화단계별 고혈압 예방 실천의 장애요인.............................55
3.6.1. 식행동 변화단계별 고혈압 예방 실천의 장애요인....................55
3.6.2. 식행동 변화단계별 장애요인별 고혈압 예방 실천도 점수......57
4. 고혈압 관련지식과 고혈압 예방 실천도와의 상관관계....................................59
V. 고찰 ..........................................................................................................................60
Ⅵ. 요약 및 결론...........................................................................................................66
참고문헌..........................................................................................................................72
부록 1. 설문지...............................................................................................................86
Abstract..........................................................................................................................93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