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장희승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신윤아
발행연도
2017
저작권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0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16주간의 저항성운동 중 분지아미노산 섭취량이 여성 노인의 신체구성, 일상생활체력 및 근 합성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 26명을 저항성운동+4g 분지아미노산 섭취군(RE+AAs, n=10)과 저항성운동+8g 분지아미노산 섭취군(RE+HAAs, n=7), 저항성운동군(RE, n=9)으로 무선배정 하여, 16주간 주 2회, 1일 60분의 저항성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분지아미노산의 양을 달리하여 섭취하도록 하였다.
신체구성은 제지방량과 체지방률 그리고 신체둘레를 측정하였다. 일상생활체력은 노인체력검사(senior fitness test, SFT)의 지침에 따라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덤벨 들기, 2분 제자리 걷기, 의자에 앉아 앞으로 굽히기, 등 뒤에서 손잡기, 244cm 왕복걷기로 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및 동적평형성을 측정하였다. 보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걷기 속도를 추가로 측정하였다. 근 합성 관련 호르몬 농도 변화를 검사하기 위하여 인슐린 유사성장인자, 코티졸, 인슐린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제지방량은 RE+AAs 집단과 RE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p<.01), RE+HAAs는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제지방량이 증가하여, 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체지방률은 RE+HAAs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RE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여(p<.05), 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었다(p<.01). 신체둘레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퇴사두근에서 시기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는데(p<.01), RE+AAs 집단과 RE+HAAs 집단에서 둘레가 증가하였으며, RE 집단에서는 감소하였다.
둘째, 하지근력과 상지근력, 심폐지구력은 시기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p<.001), 하지 유연성은 RE+HAAs 집단과 RE 집단에서 시기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었다. 동적평형성 및 민첩성은 세 집단 모두 시기(p<.01)와 집단(p<.05)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셋째, IGF-1은 시기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지만(p<.001), Insulin과 Cortisol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결과적으로, 16주간의 저항성운동과 분지아미노산 섭취는 노인들의 근감소를 예방하고 일상생활체력을 향상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육량이 감소하는 노인들에게 저항성운동은 신체구성과 일상생활체력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적절한 분지아미노산의 섭취는 이러한 저항성운동의 효과를 높여 줄 수 있을 것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가설 3
4.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저항성운동 6
2. 분지아미노산 섭취 9
Ⅲ. 연구방법 11
1. 연구대상 11
2. 실험설계 12
3. 검사항목 및 방법 13
4. 실험방법 17
5. 자료처리방법 19
Ⅳ. 결과 20
1. 신체구성 변화 20
2. 일상생활체력 변화 28
3. 근 합성 관련 호르몬 변화 35
Ⅴ. 논의 40
1. 저항성운동과 분지아미노산 섭취량에 따른 신체구성 변화 40
2. 저항성운동과 분지아미노산 섭취량에 따른 일상생활체력 변화 42
3. 저항성운동과 분지아미노산 섭취량에 따른 근 합성 관련
호르몬 변화 43
Ⅵ. 결론 46
참고문헌 47
부록 58
Abstract 60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