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대형마트 브랜드인 Privte Brand(=PB)와 제조업체 브랜드인 National Brand(=NB)의 HMR식품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그 속성들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HMR식품 시장에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이나 새롭게 출시되는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10월 12일부터 2017년 10월 16일까지 HMR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대형마트 브랜드인 PB브랜드와 제조업체 브랜드인 NB브랜드 각각 온라인 설문업체 M사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 및 경험을 해 보지 못한 소비자들을 제외한 779부(PB브랜드: 396명, NB브랜드: 383명)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검정,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과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6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선택속성이 ‘맛’, ‘가격’, ‘디자인’, ‘다양성’, ‘인지도’, ‘영양’ 6가지의 요인으로 묶여졌으며, 6가지 요인 대부분 PB브랜드와 NB브랜드에 대한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았다. IPA분석 결과 PB브랜드는 1사분면에 ‘가격’, 2사분면에 ‘영양’, 3사분면에 ‘디자인’, ‘인지도’, 4사분면에는 ‘맛’, ‘다양성’이 위치했다. NB브랜드에서는 1사분면 ‘가격’, 2사분면 ‘영양’, 3사분면 ‘인지도’, ‘다양성’, ‘디자인’, 4사분면에는 ‘맛’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PB브랜드와 NB브랜드 대부분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보아 소비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찾아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IPA분석 결과, 1사분면의 ‘가격’에 대해서 PB브랜드와 NB브랜드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큼 만족한다고 나타났지만 평균 값 비교 시 큼 차이를 보였으므로, 가격대에 맞는 품질과 경제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2사분면의 ‘영양’ 또한 PB와 NB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큼 만족하지 못한다고 나타났다. HMR특성 상 영양적인 것을 크게 생각하지 않을 거라는 생각과는 반대로 난 것이다. 이는 HMR식품 이용 빈도수가 잦은 소비자들의 증가로 인한 것이라 보고 영양적인 면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안전첨가물, 혹은 안전식품 인증 마크를 제작하는 등 국가적인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사분면에서는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크게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있지만, PB브랜드의 ‘디자인’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포장을 용이하게 만들고 제품의 이미지를 명확하게 제시해 준다면 소비자들의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그리고 NB브랜드의 ‘다양성’과 ‘인지도’ 또한 높으므로 인터넷이나 SNS를 통한 정보 전달을 자주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4사분면은 중요도보다 높은 만족도를 가지나, PB브랜드, NB브랜드 모두 높은 중요도를 보여주므로 1인 가구 소비자들을 위한 소량의 HMR식품 개발 및 신제품 개발 시 출시 전 시식 등의 노력을 한다면 더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tries to compare Private Brand (hereafter PB) and National Brand (hereafter NB) in terms of selection property and satisfaction when purchasing Home Meal Replacement (hereafter HMR) food produ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useful implications for the enhancement of selling HMR produc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779 samples (PB brand: 396, NB brand: 383) were collected from consumers who have purchased HMR food products using the online survey M company from October 12, 2017 to October 16, 201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including analysis of frequenc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aired-samples t-test and IPA analys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project is as following. The selection properties that are consisted of 26 questionnaire were grouped in six factors, ‘taste’, ‘price’, ‘design’, ‘diversity’, ‘awareness’ and ‘nutrition’, and most of the six factors had higher importance than satisfaction towards the PB and NB brand. As a result of IPA analysis, PB brand had ‘price’ in 1 Quadrant, ‘nutrition’ in 2 Quadrant, ‘design’ and ‘awareness’ in 3 Quadrant, and ‘taste’ and ‘diversity’ in Quadrant 4. In NB brand, it was shown ‘price’ in 1 Quadrant, ‘nutrition’ in 2 Quadrant, ‘awareness’, ‘diversity’ and ‘design’ in 3 Quadrant and ‘taste’ in 4 Quadrant. The result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leads to a consideration that shown that both PB and NB brand have higher importance than satisfaction, it is shown that the brand cannot meet the expectation of the consumers think is important, and therefore need a method for enhancement of satisfaction. Also as a result of IPA analysis, in ‘price’ of 1 Quadrant, PB and NB brand both showed that it meets satisfaction of the consumers and the importance they think but showed big difference when comparing the mean valu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quality and economic power that fit the price range is necessary. Additionally, ‘nutrition’ in 2 Quadrant also appeared that PB and NB both cannot satisfy as much as consumers think is important. It was opposed with the idea that as a characteristic of HMR, there will be less attention on nutrition. This can be seen that it is caused by the increase of consumers with frequent uses of HMR food product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in nutrition aspect, the national policy seems necessary such as producing safety additives or food safety certificate mark.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showed both low in 3 Quadrant which may have less attention here, but as PB brand’s ‘design’ showed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f the packing becomes simple and the products’ images are clearly showing, it is thought that this will enhance the purchase of the consumers. In addition, ‘diversity’ and ‘awareness’ of NB brand are also high which can be considered that information delivery through internet and SNS should be done more often. Since 4 Quadrant has higher satisfaction than importance but at the same time PB and NB brand both show high importance, better results can be expected if there are more trials such as free sample before the release of new product or before development of small quantity HMR food product for single-person household.
제 1 장 서 론 1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문제제기 1제 2 절 연구의 목적 5제 3 절 연구의 방법 7제 4 절 연구의 구성 8제 2 장 이론적 배경 10제 1 절 가정간편식(HMR)에 대한 이론적 배경 101. HMR(Home Meal Replacement)식품의 개념 102. HMR 식품 등장 133. 일본의 HMR 시장 174. 중국의 HMR 시장 185. HMR에 대한 선행연구 19제 2 절 대형마트 브랜드(Private Brand) 211. PB란 212. 브랜드 유형에 따른 PB브랜드의 종류 223. PB브랜드상품 현황 24제 3 절 제조업체 브랜드(National Brand) 261. NB란 262. PB에 대항하는 NB 26제 4 절 PB상품과 NB상품에 대한 선행연구 27제 5 절 상품에 대한 선택속성 30제 6 절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321. IPA란 322. IPA를 이용한 선행연구 36제 3 장 연구방법 37제 1 절 연구과제 37제 2 절 연구의 설계 381. 연구대상 및 기간 382. 설문지 구성 39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1가. 가정간편식(HMR) 41나. 대형마트 브랜드(PB)와 제조업체 브랜드(NB) 424. 분석방법 43제 4 장 실증분석 44제 1 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441. 인구통계학적 특성 442. 탐색적 요인분석 49제 2 절 브랜드 별 중요도 및 만족도의 차이 비교 531. PB브랜드의 HMR식품 선택속성의 중요도 만족도 차이 비교 532. NB브랜드의 HMR식품 선택속성의 중요도 만족도 차이 비교 563. PB브랜드와 NB브랜드의 중요도 및 만족도 차이 비교 594.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63제 5 장 결론 및 제언 70제 1 절 전체 연구결과의 요약 70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73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77참고문헌 78제 1 절 국내논문 78제 2 절 국외논문 84설 문 지 89Abstract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