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윤영진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황진수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세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7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대형마트 브랜드인 Privte Brand(=PB)와 제조업체 브랜드인 National Brand(=NB)의 HMR식품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그 속성들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HMR식품 시장에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이나 새롭게 출시되는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10월 12일부터 2017년 10월 16일까지 HMR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대형마트 브랜드인 PB브랜드와 제조업체 브랜드인 NB브랜드 각각 온라인 설문업체 M사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 및 경험을 해 보지 못한 소비자들을 제외한 779부(PB브랜드: 396명, NB브랜드: 383명)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검정,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과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6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선택속성이 ‘맛’, ‘가격’, ‘디자인’, ‘다양성’, ‘인지도’, ‘영양’ 6가지의 요인으로 묶여졌으며, 6가지 요인 대부분 PB브랜드와 NB브랜드에 대한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았다. IPA분석 결과 PB브랜드는 1사분면에 ‘가격’, 2사분면에 ‘영양’, 3사분면에 ‘디자인’, ‘인지도’, 4사분면에는 ‘맛’, ‘다양성’이 위치했다. NB브랜드에서는 1사분면 ‘가격’, 2사분면 ‘영양’, 3사분면 ‘인지도’, ‘다양성’, ‘디자인’, 4사분면에는 ‘맛’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PB브랜드와 NB브랜드 대부분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보아 소비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찾아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IPA분석 결과, 1사분면의 ‘가격’에 대해서 PB브랜드와 NB브랜드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큼 만족한다고 나타났지만 평균 값 비교 시 큼 차이를 보였으므로, 가격대에 맞는 품질과 경제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2사분면의 ‘영양’ 또한 PB와 NB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큼 만족하지 못한다고 나타났다. HMR특성 상 영양적인 것을 크게 생각하지 않을 거라는 생각과는 반대로 난 것이다. 이는 HMR식품 이용 빈도수가 잦은 소비자들의 증가로 인한 것이라 보고 영양적인 면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안전첨가물, 혹은 안전식품 인증 마크를 제작하는 등 국가적인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사분면에서는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크게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있지만, PB브랜드의 ‘디자인’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포장을 용이하게 만들고 제품의 이미지를 명확하게 제시해 준다면 소비자들의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그리고 NB브랜드의 ‘다양성’과 ‘인지도’ 또한 높으므로 인터넷이나 SNS를 통한 정보 전달을 자주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4사분면은 중요도보다 높은 만족도를 가지나, PB브랜드, NB브랜드 모두 높은 중요도를 보여주므로 1인 가구 소비자들을 위한 소량의 HMR식품 개발 및 신제품 개발 시 출시 전 시식 등의 노력을 한다면 더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문제제기 1
제 2 절 연구의 목적 5
제 3 절 연구의 방법 7
제 4 절 연구의 구성 8
제 2 장 이론적 배경 10
제 1 절 가정간편식(HMR)에 대한 이론적 배경 10
1. HMR(Home Meal Replacement)식품의 개념 10
2. HMR 식품 등장 13
3. 일본의 HMR 시장 17
4. 중국의 HMR 시장 18
5. HMR에 대한 선행연구 19
제 2 절 대형마트 브랜드(Private Brand) 21
1. PB란 21
2. 브랜드 유형에 따른 PB브랜드의 종류 22
3. PB브랜드상품 현황 24
제 3 절 제조업체 브랜드(National Brand) 26
1. NB란 26
2. PB에 대항하는 NB 26
제 4 절 PB상품과 NB상품에 대한 선행연구 27
제 5 절 상품에 대한 선택속성 30
제 6 절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32
1. IPA란 32
2. IPA를 이용한 선행연구 36
제 3 장 연구방법 37
제 1 절 연구과제 37
제 2 절 연구의 설계 38
1. 연구대상 및 기간 38
2. 설문지 구성 39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1
가. 가정간편식(HMR) 41
나. 대형마트 브랜드(PB)와 제조업체 브랜드(NB) 42
4. 분석방법 43
제 4 장 실증분석 44
제 1 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44
1. 인구통계학적 특성 44
2. 탐색적 요인분석 49
제 2 절 브랜드 별 중요도 및 만족도의 차이 비교 53
1. PB브랜드의 HMR식품 선택속성의 중요도 만족도 차이 비교 53
2. NB브랜드의 HMR식품 선택속성의 중요도 만족도 차이 비교 56
3. PB브랜드와 NB브랜드의 중요도 및 만족도 차이 비교 59
4.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63
제 5 장 결론 및 제언 70
제 1 절 전체 연구결과의 요약 70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73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77
참고문헌 78
제 1 절 국내논문 78
제 2 절 국외논문 84
설 문 지 89
Abstract 102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