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윤정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강동욱
발행연도
2021
저작권
대구가톨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8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홍로, 아오리, 부사, 홍옥, 미얀마 사과꽃 5종을 열풍건조와 동결건조하여 건조방법 차이에 따른 사과꽃 5종의 항산화 활성을 총 폴리페놀 함량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 DPPH 라디칼 소거 능력 측정, FRAP 활성 측정을 통해 비교하고, HPLC를 활용하여 페놀산 물질 11종과 플라보노이드 물질 6종으로 정성, 정량분석연구를 하였다. 실험결과 동결건조된 아오리 사과꽃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과 페놀산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나타내었다. 동결건조된 아오리 사과꽃은 총 폴리페놀 함량 500.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123.8 mg QE/g, DPPH 라디칼 소거 능력 83.3 %, FRAP 활성 117.4 mg TE/g, 페놀산 물질 11종 총 737.9 mg/kg, 플라보노이드 물질 6종 총 105.8 mg/kg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동결건조한 아오리 사과꽃이 기능성 건강식품과 화장품 등 천연항산화제 소재로 활용이 가장 적합하였다.

목차

I. INTRODUCTION . 1
II. RESULT AND DISCUSSION 3
II-1. 총 폴리페놀 함량측정 3
II-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 4
II-3. DPPH(2, 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측정. 5
II-4.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활성측정 6
II-5. HPLC를 활용한 페놀산 정성, 정량분석 . 7
II-6. HPLC를 활용한 플라보노이드 정성, 정량분석 . 13
III. CONCLUSION 16
IV. EXPERIMENT . 18
IV-1. 전처리 . 18
IV-1.1. 재료 및 건조방법 . 18
IV-1.2. 시료의 추출 . 18
IV-2. 실험방법 . 19
IV-2.1. 총 폴리페놀 함량측정 실험 . 19
IV-2.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 실험 19
IV-2.3. DPPH(2, 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측정 실험 19
IV-2.4.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활성측정 실험 20
IV-2.5. HPLC를 활용한 페놀산 정성, 정량분석 21
IV-2.6. HPLC를 활용한 플라보노이드 정성, 정량분석 24
V. REFERENCE . 26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