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태우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정진욱
발행연도
2022
저작권
한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5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에서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에서 전자 및 이온의 밀도 분포를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 ICP 안테나의 종단에 직렬 가변 커패시터를 설치하고 그로 인해 생성 되는 가상 접지를 이용 하여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제어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상 접지는 접지가 되어 있지 않지만 전위가 0인 지점이다. 그러므로 가상 접지 근처에서는 국부적으로 축전 전기장의 세기가 매우 약하며, 안테나와 플라즈마 사이의 축전 결합이 매우 약하다. 축전 결합으로 방전이 유지되는 E-mode에서는 가상 접지 근처의 플라즈마 밀도가 최소가 되었으며, 유도 결합으로 방전이 유지되는 H-mode에서는 가상 접지 근처의 플라즈마 밀도가 최대가 되었다. 가상 접지의 위치는 가변 커패시터의 용량에 따라 변한다. 커패시턴스가 작을 때는 가상 접지가 안테나의 입력단 근처에 위치하며,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면 가상 접지가 안테나의 종단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가상 접지의 위치를 제어하고 국부적인 축전 결합을 변화시켜 전자 및 이온의 밀도 분포를 제어하였다. 전자 에너지 분포 함수와 이차원 이온 밀도 측정 결과는 E-mode 및 H-mode에 존재하는 플라즈마 밀도의 최소 및 최대 점이 가상 접지의 위치와 동일하며, 가상 접지 위치 변화를 따라 함께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ICP 안테나에 직렬 커패시터의 추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플라즈마 밀도 분포의 제어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에 자기공명방식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적용시켜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제어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전력을 인가하는 송신 코일을 챔버에 설치하고, 송신 코일 밑에 구리 관과 가변 커패시터로 만들어진 수동 공진 코일을 설치하였다. 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두 물체는 에너지 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공진 하지 않는 물체 사이의 에너지 교환은 상대적으로 작다. 비 공진에서는 거의 모든 전력이 전력 송신 코일에 인가되며 수동 공진 코일에는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 때의 플라즈마 밀도는 송신 코일이 설치되어있는 챔버의 중앙에서 최대이며 가장 자리로 갈수록 감소하는 볼록한 분포를 보였다. 반면에, 공진 조건에서는 거의 모든 전력이 수동 공진 코일에 전달되었으며, 이 때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는 공진 코일 근처가 매우 높은 치우쳐진 볼록한 분포를 보였다. 측정된 플라즈마 변수들은 비 공진시에는 전자의 가열이 송신 코일 근처에서 최대가 되며, 공진시에는 전자의 가열 영역이 수동 공진 코일 근처로 이동함을 보였다. 실험 결과 수동 공진 코일의 추가로 원하는 위치에 전력을 전송시키고, 유연한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용 ICP 장비에서 전자 및 이온 밀도의 분포를 제어하는 연구로써, 간단한 회로의 추가로 손쉽게 공정에 적용 될 수 있다. 이 두 가지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 방법이 향후 더욱 대면적화 될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균일한 공정 결과를 얻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제 1장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중요성 1
1.2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 13
1.3 본 논문의 주제와 구성 14
제 2장 배경 이론 15
2.1 플라즈마의 기본 특성 15
2.1.1 플라즈마의 생성 15
2.1.2 디바이(Debye) 차폐 16
2.1.3 플라즈마 진동수(Plasma frequency) 18
2.1.4 쉬스(Sheath) 21
2.1.5 봄 속도(Bohm velocity) 27
2.1.6 전 쉬스(Presheath) 29
2.1.7 플라즈마 유전율과 전도도 32
2.1.8 플라즈마 등가 회로 36
2.2 플라즈마 소스 38
2.2.1 DC 플라즈마 38
2.2.2 RF 플라즈마 41
2.2.3 축전 결합 플라즈마(CCP) 42
2.2.4 유도 결합 플라즈마(ICP) 43
2.3 플라즈마 진단 48
2.3.1 단일 탐침을 이용한 전자 에너지 확률 함수 측정법 49
2.3.2 부유 고조화파 분석법 52
제 3장 ICP에서 가상 접지의 위치 제어를 통한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 55
3.1 가상 접지 생성 원리 55
3.2 실험 구성 56
3.3 실험 결과 및 분석 58
제 4장 ICP에서 자기공명방식 무선전력전송을 이용한 플라즈마 밀도 분포 제어 78
4.1 실험 구성 78
4.2 실험 결과 및 분석 81
제 5장 결 론 98
참고문헌 102
Abstract 115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