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및 adipogenesis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출물을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농도별(50, 100 μg/mL)로 처리하였고, 그 결과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켰다. 이 같은 활성에 대한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PPARγ 전사활성과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활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PPARγ 전사 활성을 억제시켰고 PPARγ 및 C/EBPα의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adipokine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는 지방 생성의 주요 전사인자인 PPARγ와 C/EBPα의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해 지방 분화억제 및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효과가 있는 농도가 100 μg/mL로 천연물질로써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항비만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Agrimonia pilosa L.,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ethyl acetate extract from A. pilosa L. (EAAP) suppresses lipid accumulation and inhibits expression of adipogenic marker gene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glucose transporter 4 (GLUT4), and adiponectin in 3T3-L1 preadipocytes. We demonstrated that EAAP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PPARγ and C/EBPα mRNA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EAAP reduced the PPARγ transcriptional activity stimulated by rosiglitazone in HEK 293T cells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GLUT4 and adiponectin in 3T3-L1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AP inhibits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blocking of PPARγ and C/EBPα gene expression in 3T3-L1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