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1. 서론
2. 실험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기판 및 열처리 온도에 따른 SrWO<sub>4</sub>:Dy<sup>3+</sup>, Eu<sup>3+</sup> 형광체 박막의 특성
한국재료학회지
2016 .01
증착 온도에 따른 Ca₂SrAl₂O6:Eu3+ 형광체 박막의 특성
한국표면공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019 .11
CaWO₄:Eu3+ 적색 형광체 분말과 박막의 제조와 발광 특성
한국표면공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019 .11
석영 기판 위에 증착된 NaNbO₃:Eu3+ 형광체 박막의 특성에 열처리 온도가 미치는 영향
한국표면공학회지
2021 .04
증착 온도가 라디오파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성장한 SnO₂:Eu3+ 박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표면공학회지
2023 .06
증착 후 진공열처리에 따른 SnO<sub>2</sub> 박막의 특성 변화
열처리공학회지
2016 .01
질소분위기 열처리에 따른 SnO<sub>2</sub> 박막의 구조적, 전기광학적 특성 변화
열처리공학회지
2017 .01
메틸계 실리콘 수지 기반 형광체막 성형에 따른 특성 비교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6 .05
Microstructure of evaporated or sputtered CdTe films in relation to heat treatment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2016 .03
Development of High Entropy Alloy Film using Magnetron Sputtering
한국표면공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018 .06
서로 다른 증착 온도에서 성장된 BaWO₄:Sm3+ 형광체 박막의 구조, 광학, 표면 형상의 특성
한국표면공학회지
2022 .04
증착 온도가 Eu3+ 이온이 도핑된 MgMoO₄ 형광체 박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표면공학회지
2016 .02
Direct Formation of 2-dimensional Molybdenum Disulfide Thin Films by RF Sputtering and Rapid Thermal Annealing on Sapphire Substrate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2018 .04
Pulsed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제조된 다층 광학박막의 특성
한국표면공학회지
2019 .08
적색 형광체 신뢰성 향상을 위한 코팅 형광체의 고진공 조건 열처리에 관한 연구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2020 .02
Influence of Rapid Thermal Annealing on the Opto-Electrical Performance of Ti-doped Indium Oxide Thin Films
한국표면공학회지
2019 .12
Diffusion Behaviors and Electrical Properties in the In-Ga-Zn-O Thin Film Deposited by Radio-frequency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한국표면공학회지
2015 .12
Glass Remote Phosphor 구조를 갖는 백색 LED 패키지의 형광체 함량과 열처리 온도 최적화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2016 .03
Effect of Post-Deposition Annealing on the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IGZO Films
Electronic Materials Letters
2015 .01
Dependence of the Generation Behavior of Charged Nanoparticles and Ag Film Growth on Sputtering Power during DC Magnetron Sputtering
Electronic Materials Letters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