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22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미투의 준비 과정: 그동안 말하지 않/못한 이유를 언어화하기
3. 미투가 실천되는 과정: ‘피해자 되기(becoming-victim)’를 ‘선택’하다
4. ‘미투하기’, 그리고 흔들리는 피해자의 위치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미투 운동(#Me Too)과 우리의 대응에 관한 고찰: 사회복지계의 자성(自省)적 성찰
교정복지연구
2018 .01
기술매개 성폭력의 ‘실질적’ 피해와 그 의미
한국여성학
2022 .03
여성주의 성폭력예방교육의 모색
한국여성학
2015 .06
나르시시즘과 성별에 따른 성폭력 인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23 .06
서울시 폭력 피해여성 의료 지원 정책 효율화 방안 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6 .06
Building Solidarity and Cooperation to Stop Sexual Violence in Universities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학술대회자료집
2018 .01
미투운동과 성(性) 문화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8 .07
미투운동 이후 담론 전략들의 쟁투와 반성폭력운동의 과제 - ‘안희정 사건’의 재판 과정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2019 .10
성폭력 피해자를 처벌하다 : 피해자 전형성 위반 범죄로서의 성폭력 무고
한국여성학
2018 .12
군 성폭력범죄 대응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2021 .09
대학생 간 성폭력 피해자의 트라우마 극복을 통한 신고율 증가를 위한 서비스 제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4 .06
프로스포츠에서의 성폭력실태와 형사법적 대응방안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9 .01
디지털 자본주의와 성폭력 산업
여/성이론
2019 .12
성폭력 범죄피해자 복지지원에 관한 고찰
교정복지연구
2015 .01
사회적 고통으로서 성폭력피해의 의미구성과 젠더효과 : 20·30대 여성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2016 .10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0 .11
Korea Sexual Violence Relief Center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학술대회자료집
2016 .01
두 여성의 데이트 성폭력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2024 .03
성폭력 피해 경험자를 위한 모바일 앱 사용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2 .09
미투, 문화와 역사를 바꾸다
여성우리
2018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