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산업디자인을 위한 플라스틱 소재 활용 가이드 -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관점에서 -
한국디자인포럼
2020 .01
현대장신구의 발생과 그 배경-1920~50년대 스튜디오 장신구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15 .10
디자인, 공예 분야에서 폐산업소재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작품연구 -폐플라스틱 가루 실험 사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2 .04
플라스틱을 이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의미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6 .04
아르데코, 현대장신구의 시작(아르데코와 동시대 주얼리의 역사적 위상과 그 현대적 의미)
기초조형학연구
2018 .12
플라스틱을 활용한 업사이클링(Up-cycling) 주얼리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2019 .01
가변성과 상호 작용성을 활용한 키네틱 장신구 디자인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22 .12
2000년대 이후 국내 현대장신구 분야 연구 동향
기초조형학연구
2019 .12
디지털 시대에서 장신구의 중개적 역할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24 .09
씨앗을 이용한 예술장신구 디자인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20 .01
Say No to Plastic
한국디자인학회 국제초대전도록
2021 .11
NO PLASTIC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11
가죽 소재 활용을 기반으로 한 현대장신구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2017 .08
환경문제 개선을 위한 공예의 역할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20 .01
맥락적 인터뷰를 활용한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인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매장 내 일회용 플라스틱 컵 규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9 .09
한국 여성장신구와 패션 유행에 관한 연구 - 1990년대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8 .04
글로벌 경쟁력 있는 장신구 문화상품 개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22 .09
반사효과를 활용한 현대예술과 현대 장신구 특징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24 .10
대학 캠퍼스에서의 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위한 디자인 제안-폴리에틸렌(HDPE)과 폴리젖산(PLA) 소재 새활용을 중심으로
Design Works
2021 .10
오토 퀸즐리(Otto Künzli)의 장신구에 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