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위험과 책임
Ⅲ. 태안의 사회재난: 양상과 그 배경 요인
Ⅳ. 사회 복원 과정에서 국가, 자본 및 시민사회의 대응
Ⅴ. 결론: 책임의 제도화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가 재난관리체제의 기능과 한계 :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2009 .04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후 직업별 관점에서 본 태안지역사회의 삶의 질 문제
Crisisonomy
2010 .01
재난피해 지역에서 사회적 경제를 통한 지역위기 극복방안 연구- 태안 허베이스피르트호 유류유출사고 피해와 재난복구 이슈를 중심으로 -
Crisisonomy
2014 .01
고도 불확실성의 재난상황에서 삶의 질 저하에 대한 인지와 소통 :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2009 .06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초기대응과 재난관리의 한계
환경사회학연구 ECO
2008 .06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 연구
환경사회학연구 ECO
2009 .06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영향연구
환경사회학연구 ECO
2008 .06
Implications for Disaster Response Systems of Korean Local Governments - With a Focus on the Case of Hebei Spirit Oil Spill -
Crisisonomy
2011 .01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의한 섬 주민들의 삶의 변화 : 태안군 가의도를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2008 .12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한 사회갈등 : 갈등의 제도화와 공동체의 해체
환경사회학연구 ECO
2009 .06
사회보험을 통한 재난지원에 대한 시론적 고찰
비판사회정책
2020 .08
환경재난의 장기적 사회영향: 기름유출사고 발생 11년의 시점에서 본 두 개의 어촌마을
사회과학연구
2019 .10
허베이 스프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이후 재난관리 거버넌스 구축 실패와 재난 복원력의 약화 : 관련 행위자들 간의 이해와 대응을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2012 .06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지역정치권의 위기대응
Crisisonomy
2009 .01
대규모 해양재난에 대한 국가의 개입과 불확실성 : 프레스티지호 사고와 허베이스피리트호 사고를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2010 .06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피해지역 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실증 분석
Crisisonomy
2010 .01
사회재난 이후, 정부의 대응과 책임 변화
정부학연구
2018 .01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 재난’ 연구
한국환경사회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9 .05
0